우울장애
Depressive Disorder

우울하고 무기력한 기분이 거의 매일, 하루 중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전보다 일상생활에서의 흥미나 즐거움이
우울 장애는 가장 흔한 마음의 병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결코 가벼이 여길 수 없는 장애입니다.
전문적인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증상이 만성화될 수 있고, 학업, 직장, 대인관계에서 현저한 부적응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반면 약물치료와 심리상담 치료 등 전문적인 치료적 개입이 있을 경우 증상의 호전 가능성이 높은 장애이기도 합니다.
다음의 증상 가운데 5가지 이상의 증상이 2주 연속으로 지속되면 전문의와 상담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우울장애의 원인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적인 변화로 우울증이 발생합니다. 이는 개인적인 기질적 특성과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의 복합적인 영향으로 인해 촉발될 수 있고, 가족력이 있을 경우 우울증에 대한 취약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우울증이 유전되는 것은 아니며,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도 우울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우울장애의 평가 및 진단
STEP 01
전문의 면담
설문지 작성STEP 02
종합심리검사
지능검사, 투사검사STEP 03
치료 계획 수립
우울장애의 치료
약물치료
우울증은 약물치료가 효과적입니다. 약물치료는 중추신경계의 기분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에게 적합한 항우울제를 처방 받을 수 있고, 대부분의 항우울제는 습관성을 초래하지 않으니 염려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항우울제는 효과가 나타나기 까지 수 주일이 걸릴 수 있고, 갑자기 중단할 경우 우울증이 재발하거나 금단 증상이 생길 수 있으니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조절하고 감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치료
가벼운 정도의 우울감은 심리치료만으로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에게 적절한 심리치료 기법을 통해 불편한 마음을 털어놓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나아가 우울감으로 이어지게 한 개인의 근원적인 문제를 알아차리고 건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